한국GM G2X – 대우의 마지막 정통 로드스터 역사와 제원

현대 라비타(Lavita)는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생산된 현대자동차의 컴팩트 MPV(Multi-Purpose Vehicle)로, ‘가족을 위한 실용차’를 지향하며 등장한 모델입니다. 쏘나타나 아반떼처럼 대중적인 인기를 끌진 못했지만, 라비타는 세단의 주행성, 해치백의 실용성, 그리고 미니밴의 공간 효율을 동시에 잡기 위한 전략적 모델이었습니다. 국내에서는 제한된 수요로 단종되었지만, 유럽과 아시아 시장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판매되며 현대차의 라인업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라비타는 2001년 현대차가 ‘컴팩트 MPV’ 시장 진입을 목표로 아반떼 XD 플랫폼을 바탕으로 개발한 모델입니다. 개발명은 ‘FC’였으며, “생활형 다목적차”라는 콘셉트를 내세워 도심과 일상에 최적화된 차량으로 포지셔닝 되었습니다. 외관은 높게 솟은 루프라인과 짧은 전장(4,230mm)을 결합해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했고, 전고는 약 1,620mm로 시야 확보와 승하차 편의성에 강점을 지녔습니다. 파워트레인은 1.6리터 및 1.8리터 가솔린 엔진(감마 계열), 5단 수동 또는 4단 자동 변속기를 탑재하였으며, 2열 시트는 슬라이딩 및 폴딩 기능을 지원해 다양한 적재 및 탑승 조합이 가능했습니다. 특히 전방 에어백, ABS, CD 플레이어, 자동에어컨, 수납공간 다수 등 준중형차 이상의 편의사양을 적용하며 가성비 높은 MPV를 표방했습니다.
라비타는 국내에서는 ‘Lavita’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지만, 해외에서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차명으로 판매되었습니다. - **유럽 및 아시아 일부 시장**: Hyundai **Matrix** - **호주 및 중동 시장**: Hyundai **Elantra LaVita** - **말레이시아**: Inokom **Matrix** (현지 조립) 특히 유럽에서는 패밀리카 및 렌터카 수요를 노리고 실용성 중심의 마케팅을 펼쳤으며, 현대차는 이 모델을 통해 유럽 소형 MPV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디자인은 이탈디자인(Italdesign)의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참여해 당시 MPV 특유의 각지고 실용적인 스타일을 완성했습니다. 연비는 리터당 12~14km 수준으로 실속형 차량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소형 패밀리카, 캠핑용 서브 차량, 실버카 등 다양한 수요층을 대상으로 판매되었습니다.
2005년에는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라디에이터 그릴, 범퍼, 리어램프 등 외관을 변경한 **뉴 라비타**가 출시되었으며, 실내 마감 소재 개선, 하이패스 연동 룸미러, 가죽시트 등 상품성을 강화했습니다. 그러나 국내 MPV 수요의 한계, SUV 시장의 급성장, 라비타의 다소 애매한 포지셔닝으로 인해 **2007년 국내 시장에서 단종**되었습니다. 해외에서는 Matrix라는 이름으로 **2010년까지 연장 판매**되었지만, 후속 모델 없이 소형 MPV 라인업은 사실상 종료되었습니다. 이후 현대차는 투싼, 싼타페 등 SUV에 집중하며 실용성과 공간성을 SUV 중심으로 흡수하게 됩니다.
현대 라비타는 짧은 기간 생산되었지만, MPV라는 새로운 차종에 대한 도전 정신과, 아반떼 플랫폼의 다목적 활용성을 입증한 사례로 의미가 있습니다. 디자인, 실내 공간, 유럽 중심 전략 등에서 현대차의 글로벌 다변화 시도의 일환으로 평가되며, 이후 출시된 **i30, ix20, 스타리아 라운지 등 다목적 모델 개발에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지금도 일부 중고차 시장이나 수출차 시장에서 라비타는 ‘실용성과 경제성’을 상징하는 합리적 차량으로 재조명되고 있으며, 현대차가 시도한 도시형 다목적 패밀리카의 선구자 중 하나로 기억됩니다.
![]() |
현대 라비타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