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트레일러 완벽 가이드 – 역사부터 라인업, 제원, 특징까지
'브리사(Brisa)'는 스페인어로 '산들바람'을 뜻한다. 외형은 작고 소박했지만,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사에서 브리사는 대단히 중요한 상징이다. 자전거·삼륜차로 시작한 기아가 마침내 자국에서 '승용차'를 생산해낸 첫 사례였기 때문이다. 1974년 출시된 이 차는 기아가 자동차 제조사로서 자리매김하는 출발점이 되었다.
브리사는 1970년대 초반 소하리(광명)에 세워진 기아의 첫 통합 생산공장에서 생산되었고, 일본 마쓰다(Mazda)의 패밀리아(Familia) 플랫폼을 라이선스 생산한 모델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소형 적재용 픽업(Brisa B-1000)으로 먼저 선보였고, 1974년부터는 4도어 승용 세단(S-1000)도 양산되었다.
한편 브리사의 생산은 정치·산업 정책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1980년대 초 산업 통합·정책 변화로 인해 기아는 승용차 생산을 축소하고 경량 트럭 중심으로 전환해야 했고, 그 결과 브리사는 1981년을 끝으로 단종의 길을 걸었다. 이러한 배경은 단순한 자동차 단종 이상의 산업사적 의미를 갖는다.
외형은 1970년대 소형 승용차의 전형을 따랐지만, 전면부의 헤드라이트 처리(초기 모델은 쌍등식, 후기형은 단등식) 등 세부는 브리사만의 아이덴티티를 보여준다. 실용성과 경제성을 목표로 한 설계로, 당시 한국 시장의 수요(택시·개인용·소형 상업용)를 폭넓게 커버할 수 있었다.
아래는 대표적인 브리사(1974~1980년대 모델군)의 제원(일반적 표준값)이다.
단순 수치 이상으로, 브리사의 핵심은 '가벼움과 단순성'이었다. 당시 연비·정비성·내구성을 고려한 설계는 한국 도로 환경과 사용자층에 적합했다.
승용차로서 생산된 브리사 모델은 약 31,000여 대가량 생산되었고, 픽업 모델까지 포함하면 총 생산량은 약 75,987대에 이른다. 기아의 첫 수출 품목도 브리사 계열의 픽업에서 시작되었으며, 카타르·콜롬비아·그리스 등으로 소량이 수출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는 기아가 본격적으로 해외시장에 눈을 돌린 첫 계기였다.
브리사는 단지 '첫 승용차'라는 기술사적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다.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한 영화나 당시 시대상(택시·소형 승용차의 풍경)을 묘사할 때 종종 등장하며, 한국 근현대사의 한 장면을 구성하는 오브제로 인식된다.
최근에는 기아가 브랜드 헤리티지 복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브리사를 직접 복원·전시하는 사례도 보인다. 이는 글로벌 브랜드로 도약한 오늘날의 기아가 과거의 발자취를 재조명하려는 시도로 읽힌다. 복원 사례와 관련해 해외 자동차 미디어와 국내 매체가 복원 과정을 보도하기도 했다.
기술 제휴와 라이선스 생산을 통해 빠르게 경험을 쌓고, 그 경험을 기반으로 다음 세대의 독자 모델을 개발해 나간 점은 브리사가 남긴 중요한 교훈이다. 또한 한 시대의 산업정책과 정치·경제적 환경이 자동차 산업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사례이기도 하다.
브리사는 크고 화려한 차는 아니었지만,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이 ‘자립’의 길로 들어서는 데 있어 상징적 역할을 했다. 오늘날 세계 무대에서 활약하는 기아의 모습은 그 시작점에 서 있었던 브리사의 존재와 무관하지 않다. 작지만 의미 있는 출발—그것이 브리사가 우리에게 남긴 가장 큰 유산일 것이다.
![]() |
| 기아자동차 브리사 |
댓글
댓글 쓰기